반응형
상수, 변수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의미한다.
상수
변하지 않는 일정값 (ex. 디바이스의 전체용량을 표시할 때 사용가능)
let 상수명 : 데이터타입 = 값
변수
변할수있는 값 (ex. 현재 사용가능용량 표시할 때 사용가능)
var 변수명 : 데이터타입 = 값
상수로 선언된 값에 다른 값을 저장하려고 하면
Cannot assign to value: 'a'(상수값) is a 'let' constant.
라는 문구와 함께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.

데이터타입
iOS 에서는 빌드단계에 타입 검사를 하기 때문에, 실행도 되기 전에 오류를 발생시키므로 빠른 수정 가능하다.
Swift 는 타입추론 가능하므로, 타입을 명시해주지 않아도 된다.
ex) var number = 10
ex) let strVal = "Hello"
데이터 타입 종류
- Int
- UInt : 부호없는 64비트 정수, 음수할당 불가
- Float
- Double
- Bool
- Character
- String
- Any
// Int
var someInt: Int = -100 // -100
// UInt
var someUInt: Unit = 200 // 200
someUInt = -200 // 음수값을 할당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한다.
// Float
var someFloat: Float = 1.1 // 1.1
someFloat = 1 // 자동으로 1.0 으로 저장된다.
// Double
var someDouble: Double = 1.2 // 1.2
someDouble = 1 // 자동의로 1.0 으로 저장된다.
// Bool
var someBool: Bool = false // false
someBool = true
// Charactor
var someChar: Charactor = "가" // 알파벳이나 이모지도 가능
// String
var someStr: String = "안녕하세요."
// 타입추론
var numb = 10
var value = "문자열입니다."
반응형
'Study > iOS,Swif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OS Hugging Property (0) | 2023.07.13 |
---|---|
[Swift] 5. 조건문 (if~else문, switch문) (0) | 2023.07.11 |
[Swift] 4. 함수(Function) (0) | 2023.07.11 |
[Swift] 3. 컬렉션 타입 (0) | 2023.07.04 |
[Swift] 1. xcode 설치 및 Playground (0) | 2023.07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