띠오니 개발자 성장일지
article thumbnail
반응형

내 블로그를 방문해주신 분이 블로그 테마와 코드부분이 마음에 든다고 설정 방법을 물어보셨다.

누추한 곳에 . . . 귀한분이 . . 감사합니다 . .

하지만 설정을 한지 꽤 된 터라 자세하게 기억이....🥲 최대한 기억을 더듬어 작성해본다.

 


 

1. 1. 사용중인 테마

BookClub 을 커스텀해서 사용중!

2. 2. Highlights 라이브러리 추가

태그 내부에 코드블록 테마를 바꿔줄 highlights 라이브러리를 추가한다.

아래 링크에서 데모를 확인해보고, 마음에 드는 테마를 정한다.

나는 안드로이드스튜디오가 익숙해 안스로 정했다.

androidstudio 를 지우고 원하는 테마 이름을 적으면 된다.

이름 적어줄때 전부 소문자여야하고, 특수문자 없이 적어줘야했던걸로 기억이 난다. (상관없나..?😅)

<code />
<head> <title>띠오니블로그</title> ... ... <link rel="stylesheet" href="./style.css"> <script src="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lib/jquery/jquery-1.12.4.min.js"></script> <!-- 여기서부터 --> <link rel="stylesheet" href="//cdnjs.cloudflare.com/ajax/libs/highlight.js/10.6.0/styles/androidstudio.min.css"> <script src="//cdnjs.cloudflare.com/ajax/libs/highlight.js/10.6.0/highlight.min.js"></script> <script>hljs.initHighlightingOnLoad();</script> <script src="//cdnjs.cloudflare.com/ajax/libs/highlightjs-line-numbers.js/2.8.0/highlightjs-line-numbers.min.js"></script> <script>hljs.initLineNumbersOnLoad();</script> <!-- 여기까지 --> <style type="text/css"> ... ... </head> <body> ...

무료폰트를 다운받을 수 있는 곳은 대표적으로 google폰트가 있는데

구글링 하다가 알게된 눈누 라는 사이트.

특이한 폰트도 많아서 블로그 글 말고도 다른 곳에도 활용도가 높을 것 같다.

폰트 아무거나 들어가서 보면 웹폰트로 사용이 있는데, 이걸 복사해서 css Web Font Load 영역에 적어주면 된다.

이제 css 원하는 곳에서 font: 'GmarketSansMedium' 이런식으로 써주면 된다.

<code />
/* Web Font Load */ @import url('https://fonts.googleapis.com/css?family=Nanum+Myeongjo:800&subset=korean'); @import url('//fonts.googleapis.com/earlyaccess/notosanskr.css'); @font-face { font-family: 'GmarketSansMedium'; src: url('https://cdn.jsdelivr.net/gh/projectnoonnu/noonfonts_2001@1.1/GmarketSansMedium.woff') format('woff'); font-weight: normal; font-style: normal; } @font-face { font-family: 'GmarketSansLight'; src: url('https://cdn.jsdelivr.net/gh/projectnoonnu/noonfonts_2001@1.1/GmarketSansLight.woff') format('woff'); font-weight: normal; font-style: normal; } @font-face { font-family: 'IM_Hyemin-Regular'; src: url('https://cdn.jsdelivr.net/gh/projectnoonnu/noonfonts_2106@1.1/IM_Hyemin-Regular.woff2') format('woff'); font-weight: normal; font-style: normal; } @font-face { font-family: 'D2Coding'; src: url('https://cdn.jsdelivr.net/gh/projectnoonnu/noonfonts_three@1.0/D2Coding.woff') format('woff'); font-weight: normal; font-style: normal; } @font-face { font-family: 'GmarketSansBold'; src: url('https://cdn.jsdelivr.net/gh/projectnoonnu/noonfonts_2001@1.1/GmarketSansBold.woff') format('woff'); font-weight: normal; font-style: normal; }
<css />
/* ****** 블로그 제목 영역 스타일 ****** */ #header h1 { padding: 23px 0 ; font-family: 'IM_Hyemin-Regular'; font-weight: 800; font-size: 1.75em; line-height: 32px; letter-spacing: -0.2px; color: #333; } /* ******** [참고] 게시물 영역은 .entry-content 입니다. 게시물의 필요한 각 태그에 속성을 추가해주면 됩니다. ********** */ .entry-content h1 { ... font-family: 'GmarketMedium', ... } .entry-content h2 { ... font-family: 'GmarketMedium', ... } .entry-content p { ... font-family: 'GmarketLight', ... }

 

반응형

 

3.0.2. 2) 단어블록 css 설정

이렇게 보이는 단어블록을 만들수 있다. (이건 약간 야매인듯..)

단어블록(?) 커스텀을 위해 css 맨 아래에 복붙한다.

이게 소스코드를 적는 코드블록과 다른 점은

이건 p태그 내에 <code>이고, 소스코드의 <code>는 <pre> 태그 내부에 있어 소스코드에는 영향이 가지 않는다.

근데 문제는 기본모드에서는 적용시킬 수 없어서

마크다운 모드에서 `단어` 로 작성하거나

html 모드에서 <p><code>단어</code></p>  이렇게 작성해야 한다. ㅠ

마크다운 스타일을 좋아하는 나로서 약간 티스토리는 최적화되어있지 않아 불편한 점이 꽤 있다.

<css />
code { white-space: pre; max-width : 850px; max-height: 600px; overflow: auto !important; } /* 본문 내 단어블록 */ p > code { background : #ebebeb; padding : 6px 6px 4px 6px; margin: 0 1px 2px 1px; border-radius : 9px; font-size: 0.94em; line-height: 2; font-family: 'GmarketSansMedium'; color: #FF27AA; /* 핑크색 */ } /* li 내에서 단어블록 사용할 때 */ ul > li > code { background : #ebebeb; padding : 6px 6px 4px 6px; margin: 0 1px 2px 1px; border-radius : 9px; font-size: 0.94em; font-family: 'GmarketSansMedium'; line-height: 2; color: #FF27AA; /* 핑크색 */ } /* li 내에서 단어블록 사용할 때 */ ol > li > code { background : #ebebeb; padding : 6px 6px 4px 6px; margin: 0 1px 2px 1px; border-radius : 9px; font-size: 0.94em; font-family: 'GmarketSansMedium'; line-height: 2; color: #FF27AA; /* 핑크색 */ }

3.0.3.  

 

3.0.4. 3) highlight css 설정

코드블록 테마에 추가적으로 커스텀을 하고싶을 때 css 맨 아래에 복붙해서 수정해주면된다. 

<css />
/* for block of numbers : 코드줄수 숫자 스타일 */ .hljs-ln-numbers { -webkit-touch-callout: none; -webkit-user-select: none; -khtml-user-select: none; -moz-user-select: none; -ms-user-select: none; user-select: none; text-align: center; color: #f09; border-right: 0px solid #CCC; vertical-align: bottom; padding-right: 50px; font-size: 12.5px; font-family: 'D2Coding'; width: 30px; } /* your custom style here */ .hljs-ln td.hljs-ln-code { padding-left: 10px; line-height: 1.6; } /* for block of code */ .hljs-ln-code { vertical-align: center; padding-left: 50px; font-size: 13.5px; font-family: 'D2Coding'; }

* 참고

종종 코드가 막 가운데 정렬이 되거나 , 테이블 형태로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는데

테이블 속성과 겹쳐서 그런듯 하다.

.entry-content table  이렇게 된 걸, .entry-content > table 로 수정해준다.

<css />
/* 코드 블럭 이상하게 나오는 것 > 처리 */ .entry-content > table { width:100%; margin-bottom: 22px; border: 1px solid #e6e6e6; border-collapse: collapse; text-align: center; font-size: 0.9375em; line-height: 1.5714; color: #666; } .entry-content > table thead th { padding:7px 0 11px; border-left: 1px solid #e6e6e6; } .entry-content > table tbody td { padding:7px 0 11px; border-left: 1px solid #e6e6e6; border-top: 1px solid #e6e6e6; }

 


이것들이 내가 설정했던 부분인데

웬만한건 F12 로 개발자모드로 눌러가면서 컴포넌트들 찾았던것 같다 . ㅋㅋ

생노가다..인데 막상 찾아서 수정하다보면 재미도 있다.

시간은 너무 많이 쓰지 말고, 적당히 적용해보는 것을 추천 🤓

하지만 나도 초보인지라 안되는 부분도 있고 수정해야할 부분이 많다.
필요에 따라 코드 분석해서 수정해보시면 됩니다. 

 

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댓글 부탁드립니다 ! :)

 

 

 

반응형
profile

띠오니 개발자 성장일지

@띠오니
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